• 일본의 사계절 (일본실 상설전시 정기교체)
  • 이미지 배경

    일본은 가까운 지리적 위치, 풍부한 볼거리로 국내에서도 많은 이들이 즐겨 찾는 관광지이다. 지역별로 특색도 뚜렷하다보니 여행의 목적에 따라 가볼만한 곳이 다양한 편이다. 비행기를 타지 않고도 일본의 예술과 문화를 간접체험해 볼 수 있는데, 다름 아닌 국립중앙박물관이 그 여행지가 된다. 상설전시관 일본실에서 일본 미술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특히, 지난 9월부터는 새로운 전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교체된 전시품은 어떤 것이 있는지 이를 통해 우리가 살펴볼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뮤진에서 만나보자.

  • 일본의 사계절을 느끼다 / 사계화조도병풍

    다채로운 풍경을 자랑하는 일본은 볼거리가 풍성하다. 이 모든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의 8할은 분명 날씨일 것이다. 일본의 사계절은 우리나라만큼 뚜렷하고 각기 다른 정취를 느낄 수 있다. 그런 일본의 사계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작품이 전시 중이다. 가장 눈에 띄는 작품은 「사계화조도병풍」이다. 6폭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병풍으로 큰 화면의 지면과 구름에 금박을 입히고 꽃, 새, 바위, 물은 양질의 안료로 화려하게 채색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의 흐름을 두 병풍에 표현한 작품으로 계절의 아름다움을 꽃과 함께 느낄 수 있다.

  • 병풍 속 계절의 변화

    병풍 속 그림은 사계절의 변화를 각 계절을 대표하는 동식물로 표현한 것이 특징인데 봄의 벚꽃과 매화, 여름의 붓꽃, 가을의 단풍과 국화, 겨울의 눈 덮인 소나무와 백매화로 나타냈다. 병풍은 전체적으로 서정적인 분위기 속에 사계절의 풍요로움이 부드럽게 나타나는데 금세 그 풍경에 빠져들게 한다. 차분함 속에서 계절의 변화를 즐겼을 법한 일본인들의 감수성을 보여주는 듯하다. 에도 시대 다이며(大名)들이 생활하는 전각에 실내를 장식하는 용도로 사용된 병풍은 매우 인기가 있었다.

  • 판화로 담은 계절의 아름다움 / 도카이도 53차 중 '간바라'

    일본 미술 문화의 흐름을 이야기할 때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우키요에’다. 새롭게 공개되는 전시품에는 우키요에 작품인 「도카이도 53차」 여덟 점도 포함되었다. 장마, 벼의 수확, 대설 등 계절적 변화를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어 병풍과 함께 일본의 계절을 느끼기 충분하다. 에도 시대에 일본인들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간 모습이 한 장 한 장 엽서처럼 담겨 있다. 각 판화들의 비슷한 듯 다른 모습을 통해 그들의 삶을 떠올려보자. 이 밖에도 가을 느낌 물씬 풍기는 일본 근대회화인「미즈오 마을의 가을」과「금강산의 가을」도 함께 전시된다.

  • 가면에 담긴 표정을 읽다

    이번 전시에서 눈에 띄는 전시품은 바로 노가면( 能面 )이다. 이는 일본의 전통 예능인 노( 能 )를 공연할 때 사용하는 가면으로, 한국의 하회탈과 비슷한 용도라고 볼 수 있다. ‘노( 能 )’는 14세기 시작된 전통적인 연극으로 중국의 영향을 받은 시대의 산물이기도 하다. 춤을 동반하는 연극인데 이때 탈을 쓰고 연기하는 것이 많다. 표정이 없는 얼굴을 노면( 能面 )과 같은 얼굴이라고도 한다.

  • 이미지 배경

    원래 60여 가지가 넘은 가면 종류 중 전시실에는 온나멘( 女面)이라 불리는 여성 가면, 노인 가면, 귀신 가면 등 세 가지가 전시되어 있다. 16~19세기에 사용되었던 이 세 가면들은 각기 다른 표정을 짓고 있는데 여성 가면의 경우 연기를 하는 배우는 모두 남성이었으며, 노인 가면은 인간을 초월한 존재로 신이나 이국의 인물 등의 역할을 했다. 또한 치켜 오른 눈썹에 입을 벌려 이를 드러낸 무서운 표정의 귀신 가면은 해를 끼치는 악귀, 요괴 등의 역할에 사용되었다. 가면을 보면서 자연스레 표정을 한 번쯤 따라 하게 될 만큼 실감나게 표현되어 있다.

  • 혼례 문화 살펴볼 수 있는 전시품 / 마키에 경가

    이밖에도 에도시대 귀족과 무사, 부유한 집안의 여성이 시집갈 때 지참한 화장도구도 함께 전시한다. 옻칠 위에 금이나 은가루를 뿌리고 무늬를 그려 넣은 일본 고유의 칠공예인 마키에( 蒔 繪 )로 장식한 경가( 鏡 架 )와 빗, 화장품을 담았던 크고 작은 용기로 이를 통해 당시 활발하게 제작된 여성 혼례 도구의 일면을 살필 수 있다.

  • 이미지 배경

    이밖에도 에도시대 귀족과 무사, 부유한 집안의 여성이 시집갈 때 지참한 화장도구도 함께 전시한다. 옻칠 위에 금이나 은가루를 뿌리고 무늬를 그려 넣은 일본 고유의 칠공예인 마키에(蒔繪)로 장식한 경가(鏡架)와 빗, 화장품을 담았던 크고 작은 용기로 이를 통해 당시 활발하게 제작된 여성 혼례 도구의 일면을 살필 수 있다.

    원고작성 | 국립중앙박물관 디자인팀

  • 이미지 퀴즈 배경

    일본실에 전시된 다양한 전시품 중에는 2016년 구입하여 처음 공개되는 것이 많다.

    그중 한국의 하회탈 같은 기능의 가면이 있는데 이를 가리켜 ○○○이라 한다.

    마감날짜 2018년 1월 14일 ┃ 발표날짜 2018년 1월 15일

    퀴즈 당첨자 발표는 '뮤진을 공유하다' 게시판에서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