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미술 속 도시 - 도시 속 미술 2016-10-05 ~ 2016-11-23
  • 이미지

    미술속도시 도시속미술산업화된 현대인들의 삶의 주된 배경이 되는 곳이 바로 ‘도시’이다. 농경사회에서의 삶을 영위해 나가며 생계를 위해 상업적 거래와 이에 필요한 질서유지로 인해 정치와 행정이 생겨나며 형성된 활동의 중심지인 도시. 많은 이야기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예술가들도 도시의 영향권에서예외가 아니다. 사람들이 겪고 있는 현상을 관찰해 글로 쓰고 시로 읊기도 하며 기록으로 그려지는 등 ‘도시’는 새로운 주제로 부상해 다양한 사람들이 역동적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반영하는 작품으로 남았다. 당연히 미술은 시대를 따라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형식, 소장자, 매매의 구조가 모두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띠었다.

    다가오는 10월 5일부터 11월 23일까지 열리는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은 17세기 이후 도시 한양의 변화와 그러한 흐름 안에서의 문화, 미술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지며 조선후기로부터 근대까지의 미술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호 뮤진의 <전시를 이야기하다1>에서는 그 내용을 살짝 들여다보기로 한다.

  • 이미지

    한양의 확장조선 후기는 관 중심의 독점적 공장(工匠)들이 민간 운영으로 바뀌어 양질의 제품을대량생산 하게 되고, 외국과의 무역이 활발해지며 상업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당연한 결과로 사람들이 도시에 몰려들면서 사회의 질서가 변화해 신분제가 무너져갔다. 농인들이 상인이 되면서 시장은 더욱 번성하면서 도시는 그 영역이 확장되었는데 18세기에 활동한 시인 강이천의 눈으로 바라본 한양에 대한 시 「저자의 새벽」을 보면 당시를 짐작해 볼 수 있다.

  • 이미지 청명상하도, 전 구영, 중국 명, 중국 랴오닝성 박물관

    도시경관이 빠르게 변화하는 현상은 시인과 화가에게 매력적인 주제가 되었다. 낯선 풍경들을 포착하는 그들의 시선은 시로 그리고 그림으로 완성되었다.

    전시에 출품되는 중국 랴오닝성박물관 소장의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는 풍속도 혹은 시가도로 분류되는데, 중국 청명절의 도성 내외의 번화한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조선 문인들에게도 인기 있었던 도시 그림이었다.
    그 외에도 근대기에 주목했던 도시라는 주제에 관련한 그림들 역시 1930년대까지의 미술이라는 범주에 속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 이미지 태평성시도, 18세기(일부)

  • 이미지 수계도(일부), 유숙, 1853년, 국립민속박물관

    이미지 떠오르는 신진계층, 중인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 사이의 중간계층인 중인(中人)은 17세기 이후 즉 조선 후기에 들어와서 쓰인 용어로 양반(兩班)과 양인의 중간에 있는 신분층을 뜻한다. 그들은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전문적인 기술 지식이나 행정경험을 통하여 개인의 능력과 부를 축적하기도 했다. 또 그들은 특유의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서 행동이 민첩하고 이해관계에 밝으며 대인관계에 능해 외세에 의한 변동기에 민감한 정세판단으로 대응하여 전통문화의 해체와 근대화 과정에 있어서 커다란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렇게 그들은 도시 문화의 신진 리더가 되었다.

  • 이미지 유물들 배경 Q&A

    19세기 사회의 주역으로 부상한 중인들은 사대부 문화와 공통점이 있으면서도 다른, 독특한 ‘여항(閭巷: 중서민층이 사는 시정 골목을 뜻함)’ 문화를 창출했다. 전시에서는 하급 행정 관료로 재직하면서 또는 중인 가문의 경제력에 기대어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자신들의 예술적 지향을 마음껏 펼쳤던 ‘여항문인화가’들-조희룡(1789-1866), 전기(1825-1854) 등-을 주목한다. 이들은 점차 예술 창작 주체로서 자의식을 갖추고 전문 예술가가 되었을 뿐 아니라 수집, 유통, 후원 등의 활동에 폭 넓게 개입하면서 점차 문예의 흐름을 주도하였다. 이들의 예술적 성취와 예술에 대한 생각은 다음 세대에 이루어지는 근대적 개념의 ‘미술’과 ‘화가’의 출현을 예고한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다.

  • 이미지

    이미지 도시문인과 예술가의 취향과 미감국내외의 문물과 나날이 새로 피어나고 변화하는 문학과 미술 등의 예술은 사람들로 하여금 도시의 매력적인 삶을 더욱 즐기게 하여 점차 취향이 드러나게 되었다. 그들은 도시에 집을 짓고 서재와 누정(樓亭)을 조성하여, 글씨와 그림을 그리며, 골동품을 수집하고 향을 피우고 차를 마시는 등 고급스러운 취미를 즐겼으며, 물품이 넘쳐나는 만큼 자신의 미감을 반영하는 소비행위를 이어나갔다. 문인의 고급 취향은 소유물을 과시하는 세태로 이어져 그들의 서재에 진열되었던 완상품에 반영되었으며, 전시에서 만나게 될 <책가도>는 그런 풍조를 보여준다.

  • 이미지 책가도, 19세기

  • 이미지 기명절지, 고희동, 이도영, 1915년

    한편, 전시에서는 새로운 예술가인 여항문인화가들의 감성을 보여주는 작품들도 감각적이고 세련된 조형미와 주관적이며 때로 색감이나 구도 면에서 파격적으로 느껴지는 미감을 드러낸다. 이러한 작품들은 현대적 감성으로 이어지는 과정으로서의 도시 속 미술로서 미술이 근대시기로 접어드는 흐름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 이미지

    전시기간 중에는 학술심포지엄이 개최되어 전시 주제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가능한 여러 내용들을 접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어 전시를 관람하고 심화된 체험을 할 수 있다. 시대를 구분할 때 보통 경계를 분명히 설정하지만 모두가 아는 것처럼 한 시대가 끝나고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는 것은 하룻밤 사이에 선을 긋는 것처럼 이루어지는 일이 아니다. 거대하고 급속한 변화가 일어나 기존의 사회 질서가 다시 정립되고 그 안에서 많은 사람들이 현상을 목격하면서 나름의 방식으로 당시를 반영한 삶을 산다. 그리고 그 어느 시대에서도 미술은 존재해왔다. 근대로 이행하는 도시에서도 물론 미술이 존재했고 우리는 이번 전시를 통해 미술 속에서 당시의 도시를 재발견하게 될 것이다.

    자료제공 |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원고 작성 및 편집 | 국립중앙박물관 디자인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