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ZINE

62호


선비의 품격이 배인 공간, 사랑방
전시기간 : 2016.01.18~2016.03.14
전시장소:뮤진사이버전시실
전시에 앞서 <e특별전>에서는 하나의 주제를 다양하게 해석한 전시폼들을 함꼐 만나볼 수 있습니다.

최근 국립중앙박물관 목칠공예실이 새롭게 개편되었습니다. 이곳에는 선비의 공간인 사랑방을 재현해 놓은 공간이 있습니다. 전시실에 가만히 서 사랑방을 보고 있자니, 당시 선비의 모습을 떠올리게 됩니다. 사랑방은 주로 남자 주인의 일상 거처로 손님을 접대하고 문객들과 교류를 나누던 공간으로 책을 읽고 사색을 하며 학문을 논하고 예술을 즐기며 철학을 탐구하는 그들의 시간과 사고가 깃든 곳입니다. 선비의 생활공간인 ‘사랑(舍廊)’방은 문방생활에 꼭 필요하되 간결하고 검소한 기물로 꾸며져 있습니다. 이유인즉 선비의 수양과 학문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간결하고 소박하면서도 선비정신과 장인정신이 느껴지는 사랑방은 어떤 물건들로 채워져 있는지 E-특별전에서 살펴봅니다.

1. 학문적 출세의 염원을 담다 텍스트

책거리 그림 冊架圖

책거리 그림인 책가도는 책, 서가, 방 안의 기물과 함께 그린 그림을 뜻합니다. 주로 선비가 아들의 방을 장식하기 위해 주문해 그린 민화로 학문적 출세를 기원하는 소망과 염원이 담겨 있습니다. 이 그림은 상-중-하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동기(古銅器), 책, 복숭아, 꽃, 시계 등의 기물이 그려져 있고 수복과 다산의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구도는 약간의 사선구도와 역원근법, 그리고 원근법의 표현과 명암법이 구사되어 있습니다. 여러 기물에는 당초, 원, 박쥐, 대나무 문양 등이 어우러져 있으며 푸른 바탕에 붉은 계열의 색을 주로 사용하여 화려한 채색을 보입니다.

유물설명 더보기

2. 소품을 모으다 텍스트

연상 硯床

연상은 붓과 벼루 등을 보관하던 문방가구(文房家具)입니다. 책상의 일종인 서안(書案) 옆에 놓아두었습니다. 보통 상단에는 벼루와 먹을 보관하고 아래 서류와 서한을 넣을 수 있는 서랍이 있습니다. 이 연상은 사방이 트인 시원한 공간 구성을 한 것이 특징입니다. 보통 뚜껑이 있으나 이 연상은 뚜껑이 없고 하단의 양옆과 뒷부분을 넓은 판으로 막아 내용물이 보이지 않게 하였습니다. 판에 정교하게 번개무늬(雷文)를 투각하였으며, 이 문양으로 판의 답답함을 덜고 통풍이 잘되도록 하였습니다.

유물설명 더보기

3.문방의 운치를 높이다 텍스트

사방탁자 四方卓子

사방탁자는 각 층에 책을 쌓아 정돈하거나 문방용품을 올려놓고 장식하는 가구입니다. 면 분할의 쾌적함뿐 만 아니라 그 비례미를 가장 잘 살린 가구로 조선 시대 공예품 가운데 아름다움이 뛰어난 작품으로 손꼽힙니다. 이 사방탁자는 4층으로 이루어졌으며 2층~4층은 시각적 부담을 덜고 좁은 실내에 잘 어울리도록 사방을 트이게 하였으며 아래층은 두 개의 서랍과 여닫이 문을 설치하여 보관의 기능을 높이며 실용성까지 갖추었습니다. 서랍과 장의 문 판에는 꽃 모양 장식의 은혈자물쇠가 장식되었습니다. 자물쇠 장치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열쇠 구멍만 겉으로 보이는 방식입니다. 방 주인의 키를 넘지 않은 사방탁자는 검소한 조선 시대 문방생활을 운치 있게 해주는 대표가구입니다.

유물설명 더보기

4.선비의 문화를 보여주다 텍스트

꽃 모양 대나무 지통 花形紙筒

지통은 두루마리 종이를 꽂아 보관하는 통입니다. 문갑이나 사방탁자 위에 올려놓고 사용한 것으로 조선 시대 글쓰기와 글짓기를 즐기던 선비의 문화를 보여주는 물건입니다. 이 지통은 굵은 대나무를 쪼개어 하단을 상단보다 약간 좁게 만든 대나무 조각 일곱 개의 옆면을 붙여 상단을 꽃 모양의 통으로 만든 것입니다. 통 표면에는 연꽃, 잉어, 학, 사슴, 구름 등 불로장생을 상징하는 십장생무늬를 새겼고 바탕은 껍질을 벗겨낸 후 검은 칠을 하였습니다.

유물설명 더보기

5.선비의 벗이 되다 텍스트

서안 書案

서안은 책을 읽고 글을 쓰거나 공부할 때 사용하는 책상으로 사랑방의 중심을 이루는 가구입니다. 한옥에서 좌식(坐式) 생활에 맞도록 높이가 낮고, 책을 펼 수 있는 정도의 작은 크기입니다. 책을 얹는 책상으로도 사용되었지만, 손님이 왔을 때 주인의 위치를 정해주는 역할도 하였습니다. 천판(天板, 가구에서 가장 위의 면을 막아주며 마감하는 판), 다리, 서랍으로 구성된 기본형으로 한 판의 긴 서랍 전면에 두 개의 동자(문판의 좌우나 상하의 면을 나누거나 힘을 보강하기 위해 댄 골재)를 달아 세 면으로 분할하여 세 개의 서랍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점에서 균형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특별한 장식이나 문양은 없지만, 족대(足臺, 가구의 발 밑에 건너대는 널)에 모양을 넣어 곡선미를 살렸습니다.

유물설명 더보기

글:국립중앙박물관 디자인팀 뮤진 편집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