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ZINE

62호


전통과 현대의 만남

만남에 앞서
에서는 오늘날 우리가 숨 쉬고 생활 하는 일상에서 ‘온고지신’의 의미를 찾습니다. 이를 위해 전통을 현대적으로 계승한 여러 분야의 선생님들을 만나 뵙고 그 분들의 생각을 나누고자 합니다. 한국 문화의 역사와 전통이 여러분의 삶에 격조 있게 스며들 수 있도록 좋은 말씀 많이 전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우리는 국악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 판소리, 민요 같은 장르가 있다고 하는데, 다 그게 그거 같고 뭐가 뭔지 구별도 못하는 형편이다. 조상들의 이야기와 정서가 담긴 우리의 음악인데, TV에서 만날라치면 ‘에이, 국악인데’하면서 급히 채널을 돌리게 된다. 그런데 송혜진 국악 컨설턴트를 만나면 이러한 생각이 바뀌게 된다.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국악을 가르치는 송혜진 교수와 같이 국악의 세계에 한발 다가서 보자.

가야금, 호기심으로 시작하다 텍스트

고등학생 시절 합창부 활동을 하던 그녀가 관심을 가지게 된 악기가 있었다. 얼른 생각하면 피아노나 바이올린일 거라 생각된다. 그런데 아니다. 그녀가 관심을 가졌던 것은 가야금이었다. 그 낯선 악기에서 어딘가 모르게 친근하고 편안한 인상을 느꼈고 결국 관심이 깊어지게 된 것이다. 그리고 대학으로 진학하여 가야금을 전공하게 된다.

연주보다 이론에 눈 뜨다 텍스트

다소 늦게 시작한 가야금 연주, 게다가 국악을 전공한다고 하면 의아하다는 눈초리를 보내는 사람들을 자주 만나게 되면서 국악의 본질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한 사람의 단순한 연주가의 길보다는 국악을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학문적으로 규명하고 싶어 이후 한국학대학원으로 진학하여 국악을 공부하게 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한국 문화의 한 측면으로서 국악의 위상은 물론 특히 문학이나 미술 등 일반문화 영역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국악의 다양한 모습과 음악사의 이면에 숨겨져 있던 음악의 일상성을 이해하게 되었다.

가야금, 변주를 넓히다 텍스트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교수로 대학에 왔지만, 그 동안의 그녀의 이력은 의외로 다채롭다.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평론가로 데뷔했고, KBS-FM 방송작가, 국립국악원 학예연구관, 국악방송의 편성책임자 등으로 다양한 활동을 해 왔다. 이러한 경력은 2006년 숙가연(숙명가야금연주단) 예술감독을 맡으면서 빛을 발하게 되었다. 1999년 창단된 숙가연은 가야금 연주의 신기원을 제시한 실험적이고 진취적인 악단으로 힙합, 비보이, 클래식 등 다양한 장르와의 융합을 통해 국악계에 퓨전 바람을 일으켰다. 광고음악으로 선보인 ‘캐논 변주곡’에서부터 ‘Let It Be’ 등의 귀에 익은 명곡의 연주를 통해 숙가연은 우리의 오감을 자극시켰으며, 그렇게 음악이 우리 일상으로 성큼 들어오게끔 하였다.

가야금, 따뜻함으로 위로하다 텍스트

왼손으로 현을 짚어 흔들고(弄絃) 오른손으로는 튕기고 뜯으면서 내는 가야금 소리의 매력에 대해 그녀는 다음과 같이 열거했다. 첫째, 흔히 기타나 하프소리와 비교하지만, 오동나무 공명 통에서 울리는 가야금의 음색은 그들보다 훨씬 따뜻하다. 둘째, 줄을 뜯고 튕겨 소리 내는 가야금은 밝고 명랑하다. 특히 오른 손가락을 이용해 연달아 튕기는 주법은 우울함을 걷어내는 힘이 있어 듣고 나면 기분이 밝아진다. 셋째, 왼손의 농현에서 표현되는 섬세한 음의 변화가 매력적이다. 흔들고, 누르고, 들어올리고, 구르면서 내는 소리는 생명력으로 충만해 있다. 숙가연이 사용하는 25현 가야금은 이러한 매력을 잘 드러내면서도 현대인의 귀에 익숙한 서양음계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숙가연은 이러한 가야금을 통해 옛 음악의 고전적인 음색과 현대적인 감성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도록 하면서 ‘오늘’, ‘바로 이곳’으로 우리의 음악을 실어 나르고 있다.

관람자의 입장에서 다가서다 텍스트

숙가연의 예술감독을 맡으면서 그녀는 생산자가 아닌 소비자, 즉 공연을 보는 관람자, 음악을 듣는 감상자의 입장으로 바뀌었다. 다양한 경험과 이력을 통해 얻게 된 ‘대중과의 소통의 중시’가 관건이었다. “관람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그들이 원하는 것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노력한답니다. 제가 연주자 혹은 창작자가 아니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듣는 이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고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전통, 운형 속에 재창조하다 텍스트

그녀는 우리 전통문화 속 가야금의 의미를 바탕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하며 국악의 대중화를 이끌고 있다. 숙명가야금연주단 예술감독, 국악 공연에서 해설자로 활동하는 스토리텔러, 국악계의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 음반 의 퓨로듀서, ‘조선왕실 태교콘서트-달콤한 하품’ , ‘매우매우씨’등의 공연 기획자, <청소년을 위한 한국 음악사>, <국악 이렇게 들어보세요> 같은 국악 관련 서적을 집필하는 작가 등 여러 모습으로 말이다. 또 최근에 관심 두고 있는 일은 국악계 신진음악가들의 창작 활동을 살피는 일이다. 숙명가야금연주단에 상주작곡가를 초빙하여 창작활동을 돕고, 젊은 음악가들의 창작 멘토링에 참여하면서 그들의 생각을 공유하고, 그들이 뻗어 나가는 길이 좀 더 활짝 열리도록 힘을 보태고자 노력하는 중이다

숙명가야금연주단 공연 모습 텍스트

  • 숙명가야금연주단 공연 모습
  • 숙명가야금연주단 공연 모습
  • 숙명가야금연주단 공연 모습

경계 허물기를 통한 국악의 세계화  텍스트

국악이 예전보다 대중의 사랑을 받고는 있지만, 아직도 갈 길은 멀다. 그녀는 최근 다양한 실험이나 연주가 생겨나고 있다며 국악밴드 ‘잠비나이’의 이야기를 덧붙였다. 한국예술종합학교 국악과 출신 뮤지션 3인으로 구성된 밴드 '잠비나이'는 전통음악에 재즈, 하드코어 펑크, 메탈이 뒤섞인 새로운 음악을 보여주며 영국 글래스톤베리 페스티벌 등 초대형 록 페스티벌에도 잇따라 초청받고 있다고 했다. ‘잠비나이’의 사례를 통해 전통의 외형만을 따라가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며 원형성을 지키되 경계 허물기를 통해 세계무대와 소통해야 한다고 국악이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서도 제시했다.

송혜진 교수의 문화재  텍스트

그녀가 가장 좋아하고 아끼는 우리 유물은 ‘소나무 아래에서 거문고를 연주하는 그림이 있는 청자 병(靑瓷象嵌松下彈琴文梅甁)'이다. 거문고의 연주자 곁에서 그 소리에 맞춰 춤추는 한 마리의 학과 나무의 움직임이 너무 아름답다며 설명하면서 연신 소녀 같은 밝은 미소를 보인다. 덧붙여 ‘뮤진’ 독자들에게 국악을 재미있게 들을 수 있는 tip을 전했다. 첫째 ‘직접 만나라!’ 요즘은 무료 공연도 늘어나는 추세이니 직접 공연장에서 듣고 접해보라고 권했다. 미디어로 듣는 것과는 또 다른 연주일 것이다. 둘째는 ‘귀 기울여라!’ 주관적인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자신의 귀에 이끌리거나 자신의 마음을 움직이는 곡을 많이 듣는 것이 좋다. 셋째는 ‘연주자를 따르라!’ 곡이 귀에 익숙해지면 연주자에 따라 연주가 변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며 연주자가 누구인지 살펴보고 그 연주자의 곡을 들어보라고 했다. 그러면 좀 더 쉽게 국악의 세계에 입문할 수 있다고 말이다.

송혜진 교수의 문화재

글:국립중앙박물관 디자인팀 뮤진 편집실 사진촬영,제공 : 아메바 디자인, 송혜진 교수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