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박물관에서 만나는 도깨비
  • 이미지 배경

    전래동화나 옛 설화에는 용이나 호랑이 등 어마 무시한 힘과 능력을 지니고 인간들에게 두려움을 갖게 하는 다양한 초자연적인 존재들에 관한 이야기가 등장하곤 한다. 이러한 짐승들은 공포의 대상인 동시에 인간을 지켜주는 수호신의 역할도 하는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존재였다. 이들은 본연의 모습을 감추고 사람의 형상으로 변신하기도 하고 또 신비한 재주나 기이한 능력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수호신들은 몇 백 년을 살기도 하고, 때로는 순간 이동도 제 마음대로 가능하다. 이들의 모습을 국립중앙박물관에서도 만날 수 있다. 이번 호 뮤진에서는 벽사의 기능을 지닌 짐승들의 얼굴이 다양하게 표현된 전시품을 찾아 어떠한 의미를 지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미지 섬뜩한 이목구비 속 친근함 짐승얼굴무늬 수막새

    막새 전면(全面)에 선명하게 그려진 모습은 전체적으로 매우 강인함 속에 해학성을 느끼게 한다. 과장된 눈과 성난 사람처럼 눈썹이 하늘 향해 솟아 있는 모습, 힘을 잔뜩 준 코, 무엇이더라도 잡아 삼킬 것 같은 이빨과 큰 입을 보여준다. 전형적인 고구려시대의 짐승얼굴무늬 수막새로 강력한 힘을 느낄 수 있도록 그려진 것이 특징이다. 특히, 고구려의 짐승얼굴무늬는 선이 예스럽고 소박한 멋이 있으면서도 예리하다. 이목구비에서 전체적인 조형 감각의 힘을 느낄 수 있다. 나쁜 것을 물리치기 위한 주술적인 상징으로 건축이나 무덤 등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는 막새기와에 넣어 화재를 막고 건물을 장식하기 위해 쓰인 것으로 중국 은(殷)나라 이후 청동기 무늬로 새겨진 도철무늬와 매우 비슷해 그 기원을 도철무늬(饕餮文)로 보는 견해도 있다.

  • 이미지 - 짐승얼굴무늬 수막새, 고구려
    팝업이미지 짐승얼굴무늬 수막새, 고구려 1층 위치 지도
    버튼 닫기
  • 이미지 나쁜 기운을 쫒아주는 도깨비의 힘 짐승얼굴무늬 기와

    금방이라도 터질 것처럼 두툼한 모습의 얼굴, 부리부리한 눈, 힘을 주고 있는 코, 날카로운 이와 이마의 뿔, 생긴 모습만으로도 두려움을 느끼게 하는 짐승얼굴무늬 기와는 형태도 생김새도 특이해 ‘괴수면와’라고도 한다. 이 기와는 귀 마루 끝을 막는 데 사용된 것으로 양 뿔 사이에 난 구멍에 못을 박아 고정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표면이 그리 단단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낮은 온도에서 구워진 것이며, 표면 전체에 유약을 시유하였다. 상단부를 둥글게 처리하고 아랫부분은 반듯하게 절단하였다. 테두리에는 구슬 무늬가 배치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힘이 느껴진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짐승얼굴무늬 기와가 대량으로 만들어졌으며 형태와 구도에서도 완벽함을 보인다. 질병이나 악귀의 침입 없이 생활하고자 하는 신라인의 소망이 담긴 것으로 제사용기, 건축물, 무덤 등에 사용되었다.

  • 이미지 - 짐승얼굴무늬 기와, 통일신라 7세기
    팝업이미지 - 짐승얼굴무늬 기와, 통일신라 7세기 2층 위치 지도
    버튼 닫기
  • 이미지 도깨비의 형상이 풍로와 어우러지니 짐승얼굴무늬 풍로

    옥색 빛을 띠는 귀면청동로는 솥 모양의 몸체를 받침부가 받치고 있다. 구연부는 3개의 굴곡진 산형(山形)이 삼각형 모양으로 솟아있으며 몸체 양 측면에는 각각 한 개의 고리가 붙어 있다. 고리에는 장식이 달렸던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3면으로 된 화로는 정면에 투각(透刻), 나머지 두 면에는 선각(線刻)으로 짐승의 얼굴이 장식되었다. 뚜렷한 이목구비를 갖고 눈을 부릅뜬 채 입을 벌리고 있는 모습에 생동감이 풍부하게 느껴진다. 옆으로 크게 벌린 입 안에 가지런한 이빨과 송곳니, 혀, 입술, 수염도 묘사되었다. 외형이 향로와 비슷하지만 입을 뚫어서 내부와 통풍이 되도록 만든 점에서 풍로나 다로(茶爐)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받침부 아래에는 짐승 얼굴이 조각된 발 세 개가 붙었다. 형태, 문양, 발 모양 등에 새겨진 귀면의 수법 등 모두 유례가 없는 희귀한 것이다.

  • 이미지 짐승얼굴무늬 풍로,고려,국보 145호
    팝업이미지 짐승얼굴무늬 풍로 2층 위치 지도
    버튼 닫기
  • 이미지 섬세하게 새긴 자연 속 도깨비 산 경치 도깨비무늬 벽돌

    충남 부여군 규암면 외리의 옛 절터에서 발견된 8종류의 무늬 벽돌 중 하나이다. 산 경치를 배경으로 새겨진 짐승의 형상이 서 있는 바닥은 뾰족한 바위산들로 둘러싸여 움푹 팬 곳이다. 짐승의 얼굴은 마치 산중의 제왕처럼 가운데 버티고 서 있다. 눈동자가 드러나도록 부릅뜬 눈, 하늘 향해 치켜 올라간 눈초리, 뭉툭한 코, 커다랗게 벌린 입, 날카로운 송곳니, 혀, 늠름한 듯 벌어진 어깨와 가슴, 동물처럼 긴 손톱과 발톱, 얼굴과 어깨 위 불꽃무늬 갈기 등 사나운 모습을 하고 있으나, 얼굴을 들여다보면 익살스러움 마저 느껴진다. 기암괴석과 물이 흐르는 모습이 하단에 연출된 점으로 보아 암좌형(岩座型)으로 부른다. 당시 암좌형으로 개범(改笵)한 이유는 자세히 알 수 없지만, 기암괴석으로 상징되는 신선 세계를 추구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동시대 다른 나라의 벽돌보다도 훨씬 더 정제되고 세련되며 우아한 느낌을 준다.

  • 이미지- 산 경치 도깨비무늬 벽돌,백제,보물343-3호
    팝업이미지 산 경치 도깨비무늬 벽돌 1층 위치
    버튼 닫기
  • 이미지 당당한 모습의 호위병 무덤을 지키는 괴수

    지난 호에서는 중국실에 전시된 사자의 형상을 한 남북조시대의 진묘수를 소개하였다. 앞서 설명한대로 진묘수는 악령이나 도굴꾼의 침입을 막기 위해 묘실과 연도에 두는 상서로운 짐승의 모습이 표현된 부장품으로, 보통 얼굴과 몸이 전부 짐승의 형태를 딴 것이 있고, 사람의 얼굴에 짐승의 몸을 지닌 형태가 있다. 중국의 진묘수는 북위시대에 등장한 후,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확산되었는데, 초기에는 점토 조형이 주류를 이루지만 점차 유약을 사용한 도기로 바뀌어 갔다고 한다. 이번에 소개할 진묘수는 중국 당대의 것으로 사람의 얼굴에 짐승의 몸을 지닌 형태이다. 이 진묘수는 험상궂은 표정의 얼굴에 이마 위로 뿔이 하나 달려 있고 얼굴 양쪽에는 돼지의 귀가 달려있는 기괴한 형상이다. 눈을 부릅뜬 채 어깨를 편 경직되어 보이는 듯 당당한 자세가 보는 이에게 위압감을 준다.

  • 이미지- 무덤을 지키는 괴수, 당
    팝업이미지 무덤을 지키는 괴수, 당 3층 위치 지도
    버튼 닫기
  • 이미지 배경

    짐승얼굴무늬는 앞서 이야기 했듯 인간에게 있어 두려움의 대상이자 민간신앙에서 수호신으로서 의지하며 섬기는 대상이긴 하나, 때로는 인간의 꾀에 넘어가는 어리석음도 지닌 친근한 존재로 옛 이야기나 문헌에 묘사되어지기도 하였다. 그런 까닭에 옛 미술품 속에 짐승의 형상은 공포감을 자아내기에 충분한 이목구비와 표정이 표현된 것으로 보이나, 유심히 관찰해보면 그 표정이 때로는 우스꽝스러움을 자아내는 친근함을 주기도 한다. 이와 같은 선조들의 상상 속에서 튀어나온 초자연적 존재들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예는 앞서 살펴 본 전시품들 외에도 여러 종류가 더 있다. 박물관의 전시실을 누비며 짐승의 형상이 표현된 미술품들을 더 찾아보며 우리의 동화적 상상력을 더욱 자극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원고 작성 및 편집 | 국립중앙박물관 디자인팀

팝업이미지 강서대묘 널방 북벽 벽화 모사도 중 현무 위치
버튼 닫기
팝업이미지 무덤을 지키는 동물 위치
버튼 닫기
팝업이미지 용머리상 복제품 위치
버튼 닫기
팝업이미지 청자 어룡 모양 주전자 위치
버튼 닫기
팝업이미지 구름 봉황무늬 항아리 위치
버튼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