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최순우가 사랑한 전시품들을 만나다. 전시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전시기간 : 2016년4월26일 ~ 2016년12월31일
  • 이미지 전시안의 전시를 보다

    혜곡( 兮 谷 ) 최순우( 崔 淳 雨 , 1916~1984)는 무엇보다 우리의 문화유산이 가진 아름다움에 주목하고 그것을 알리는 일에 공헌하였다. 그는 개성부립박물관에 방문하였다가 우연히 당시 관장이었던 고유섭( 高裕燮) 선생을 만나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미술사 분야에서 활동하였는데 광복 후에는 주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미술과장, 학예수석 연구실장을 거쳐 1974년부터 1984년까지 제4대 관장을 역임하였다. 탁월한 심미안으로 한국의 도자기, 전통 목공예, 회화사 분야에 학문적 업적을 남겼을 뿐 아니라, 국외순회전을 기획하여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데 기여한 최순우는 미술품 각각에도 애정을 가지고 서술을 하였다. 그가 쓴 글은 서정성이 있고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전시품들을 더욱 가까이 느끼도록 하는데, 국립중앙박물관 곳곳에 자리한 그의 애정이 담긴 전시품들을 그의 설명과 함께 소개한다.

    - 최순우 선생 사진

  • 이미지 차원 높은 해학의 좋은 예

    상설전시관 2층 회화실에서는 조선후기 화가 김두량의 그림을 볼 수 있다. 도화서(圖 畵 署) 별제(別 提)를 지낸 김두량의 그림인 <긁는 개>는 다른 동물화에 비해 동작의 자연스러움과 정밀한 묘사가 뛰어난 작품으로 당시의 서양화 법을 받아들여 그린 것인데, 최순우는 이 작품에 대해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차원 높은 해학을 보인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가려운 데를 발로 긁적거리면서 눈을 가늘게 뜨고 있는 개의 모습에 익살기가 넘치고 있으며 이러한 화흥(畵 興)을 일으켰던 남리의 인품이 엿보여지는 듯도 싶다.”고 하여 해학적인 요소를 언급했다.

  • 이미지 - 긁는 개 黑狗圖 , 김두량, 조선 18세기

    - 긁는 개 黑狗圖 , 김두량, 조선 18세기

    - 긁는 개 黑狗圖 , 김두량, 조선 18세기

    팝업이미지 김두량 필 긁는개(회화실) 위치
    버튼 닫기
  • 이미지 엇갈린 나뭇가지들의 우연이 아닌 멋가락

    목칠공예실에 전시되어 있는 <나전칠 봉황 꽃 새 소나무무늬 빗접>은 그저 나전칠 목함 같아 보이다가도 “소나무에 대나무 가지가 돋았는가 하고 보면 대나무 가지와 소나무 가지가 아래 위에서 서로 엇갈려서 우연이 아닌 멋가락을 피워 주고 있다. 하늘과 좌우 공간에는 낙엽도 같고 뜬구름도 같아 보이는 조각 구름들이 드문드문 장식되어 있고, 좌우의 가지에는 서로 바라보며 도란거리는 겉부시시한 새 한 쌍이 있어서 이 풍경이 그들을 위해서 이루어진 것 같기도 하다.”라는 그의 서술을 읽으면 새로운 감성을 느끼게 된다.

  • 이미지 - 나전칠 봉황 꽃 새 소나무무늬 빗접, 조선 18~19세기

    - 나전칠 봉황 꽃 새 소나무무늬 빗접, 조선 18~19세기

    - 나전칠 봉황 꽃 새 소나무무늬 빗접, 조선 18~19세기

    팝업이미지 나전칠 봉황 꽃 새 소나무무늬 빗접(목칠 공예실)
    버튼 닫기
  • 이미지 연두색 바탕에 수놓아진 은색의 산뜻한 색채

    청동으로 만든 정병인 국보 제92호 <물가풍경무늬 정병>은 고려시대의 것으로 당시의 특색 있는 무늬들이 나타나 있다. 특히 몸체에는 물가 생활에 관련이 깊은 소재를 배치함으로써 생동감 있고 조용한 물가 풍경을 주로 나타내는 것이 특징인데, 최순우는 “이 정병은 청동 바탕에 은실로 호수 언저리의 한가로운 자연 정취를 새겨놓은 보기 드문 가작으로 지금은 녹이 나서 연두색으로 변색한 바탕에 수놓아진 은색의 산뜻한 색채 조화가 우선 사람의 눈을 놀라게 한다. 수양버들 긴 가지들이 산들바람에 나부끼는 늪가에는 갈대숲이 듬성듬성 우거지고, 물 위에는 한가로이 떠 있는 산오리들, 늪으로 날아들고 날아가는 기러기떼들이 동양화다운 포치로 아취있게 새겨져 있다.”라고 묘사하였다.

  • 이미지 -물가풍경무늬 정병, 고려 12세기

    - 물가풍경무늬 정병, 고려 12세기

    - 물가풍경무늬 정병, 고려 12세기

    팝업이미지 물가풍경 무늬 정병(금속 공예실)
    버튼 닫기
  • 이미지 수묵을 쓰듯 회화적인 감정을 담뿍 싣고

    손바닥만한 크기의 복숭아형 백자 연적과 보름달을 닮은 백자 달항아리는 3층 백자실에서 만날 수 있다. <소나무 매화무늬 연적>에 대한 설명을 읽으면 이 전시품에 애정을 담뿍 담은 것을 느낄 수 있다. 작고 귀엽지만 시원하게 그려놓은 청화에 대한 그의 서술을 보자.


    “이 천도형연적은 크고 안정된 굽다리와 작고 맵시 있는 귓 대부리가 대조적이지만 수수한 몸체에서 돋아난 하나의 애 교로서 그 몸체와 잘 어울리는 것이 미소를 짓게 한다. 조선 초기의 백자연적에 청화 그림을 그린다는 일은 매우 드물며 마치 수묵을 쓰듯 회화적인 감정을 담뿍 싣고 그려 놓은 문 기 높은 청화색 검푸른 소나무 그림을 보고 있으면 속이 후련해진다. 옛 도공은 이 연적의 주인이 이 그림을 바라보며 조석으로 솔바람 소리를 즐기라고 했다는 말인가.”

  • 이미지 - 소나무 매화무늬 연적, 조선, 15~16세기

    - 소나무 매화무늬 연적, 조선, 15~16세기

    - 소나무 매화무늬 연적, 조선, 15~16세기

    팝업이미지 소나무 매화무늬 연적(백자실)
    버튼 닫기
  • 이미지 가식 없는 어진 마음의 본바탕을 보는 듯

    백자 달항아리는 한국적인 정서가 가장 잘 드러나는 예술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한국의 흰 빛깔과 공예 미술에 표현된 둥근 맛은 한국적인 조형미의 특이한 체질의 하나이다. 더구나 조선시대 백자 항아리들에 표현된 원의 어진 맛은 그 흰 바탕색과 아울러 너무나 욕심이 없고 너무나 순정적이어서 마치 인간이 지닌 가식 없는 어진 마음의 본바탕을 보는 듯한 느낌이다.”라고 그 정서의 근본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말했는데 규모 때문에 몸통을 반으로 나누어 만들어 붙이는 탓에 그 둥근 형태가 각각 달라 완벽한 대칭의 원에서는 느낄 수 없는 멋을 설명하고 있는 듯하다.

  • 이미지 - 달항아리, 조선 18세기

    - 달항아리, 조선 18세기

    - 달항아리, 조선 18세기

    팝업이미지 달항아리(백자실)
    버튼 닫기
  • 이미지 - 전시 안의 전시를 보다

    우리 문화재의 보존과 반환을 위해 헌신하고 그 하나 하나의 아름다움을 발견하며 국내외에 알리고자 노력한 그의 우리 문화재 사랑은 길지 않은 설명글 하나에서도 깊이 묻어난다. 이번의 “최순우가 사랑한 전시품” 프로그램을 통해 만나는 전시 안의 전시가 한국의 아름다움이 표현된 우리의 모든 문화유산을 새로이 바라보는 씨앗이 되기를 기대한다.

    글 | 국립중앙박물관 디자인팀 <뮤진> 편집실

팝업이미지 김두량 필 긁는개(회화실)
버튼 닫기
팝업이미지 나전칠 봉황 꽃 새 소나무무늬 빗접(목칠공예실)
버튼 닫기
팝업이미지 물가풍경무늬 정병(곰속공예실)
버튼 닫기
팝업이미지 소나무 매화무늬 연적(백자실)
버튼 닫기
팝업이미지 달항아리(백자실)
버튼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