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ZINE

56호


지금 박물관에서는 I

 

이탈리아 남부, 나폴리 만 연안의 폼페이 유적을 처음 방문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걷고 있는 도로와 눈앞에 펼쳐진 광경이 최근에 만들어진 영화의 세트장이 아닐까하는 의심을 갖게 된다. 약 2천여 년 전의 것이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만큼 도로, 집의 벽체, 원형경기장, 공연장 등이 너무도 잘 남아있기 때문이다. 각 건물들이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 알 수 있을 정도로 당시 사용된 물건들도 원래의 장소에 그대로 잘 남아있어 그 집의 주인이 누구였는지, 죽은 사람의 직업이 무엇이었는지도 예상할 수 있을 정도이다. 과거 사람들의 일상을 추정할 수 있는 증거들이 무궁무진한 폼페이 유적의 매력은 고고학자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기에 충분하다. 폼페이는 베수비우스 산에서 분출된 용암대지 위에 자리한 660,000㎡ 규모의 고대 로마제국의 도시였다. 총 길이 3,200m의 성벽이 도시를 둘러싸고 있었으며, 출입을 통제하는 7개의 성문이 있었다. 시내에는 동서로 뻗은 2개, 남북으로 뻗은 3개의 중심도로가 있었고, 그 주변으로 100여 채 이상의 집단 주택이 있었다. 이곳에는 지금도 도시 기능을 짐작할 수 있는 다양한 건축물이 보존되어 있는데, 신전을 비롯한 공공건물과 개인주택, 상업․농업시설 등이 확인된다.
이번 기획특별전에 전시되는 유물들은 폼페이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도시문화에 관한 것이다. 79년 8월 24일에 그들이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그리고 고대 로마제국의 도시로서 어떠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도록 총 9개의 주제로 나누어 전시를 구성하였다.

기원전 80년에 로마로 흡수된 폼페이는 제국의 도시로 재정비되었다. 도시 자체는 인구 약 2만 명 정도의 소도시였지만, 로마 귀족들과 부유층의 정원이 딸린 별장이나 빌라가 많은 곳이었다. 도시에는 많은 공공건물과 대저택이 건설되었는데, 중심광장인 포럼(Forum) 주변에는 여러 신전들과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공공건물들이 들어섰다. 특히 기원전 70년에는 2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원형경기장이 지어져 사람들은 이곳에서 검투사 경기를 관람했다. 대극장에서는 가면을 쓴 배우들의 연극이 공연되어 사람들을 즐겁게 했다.
로마제국의 번영과 함께 폼페이에서도 풍요로움을 만끽하고 있었다. 길거리에는 다양한 식재료들이 판매되고 있었고, 곡물을 빻아 만든 빵을 만들어 판매하는 상점들도 있었다. 고대 로마의 요리법은 오늘날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육류와 생선이 널리 소비되었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조리법이 사용되었다. 로마인들의 식탁에는 야채, 과일 그리고 주로 빈곤층의 주식이었던 콩류가 올라왔다. 빵도 곁들여졌는데, 폼페이 유적에서 확인된 화덕과 빵 덩어리에서 알 수 있듯이 오늘날과 비슷한 방법으로 만들어졌다. 음식을 할 때는 잘 손질된 생선을 소금에 절인 ‘가룸(garum)’을 조미료로 많이 사용하였는데, 폼페이에서 만들어진 것이 유명했다.

폼페이의 대저택들은 입구의 짧은 복도를 지나면 집 내부가 보이도록 설계되었다. 집은 아트리움(atrium)이라는 천창이 붙은 공간과 정원을 중심으로 그 좌우에 방들이 배치되었는데, 방에는 밖으로 난 창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빛은 아트리움과 정원을 통해 들어왔다. 정원은 수도 시설과 연결된 분수를 비롯해 멋진 조각품들로 장식하였다. 집의 바닥은 모자이크로 장식되었는데, 부유한 집일수록 모자이크를 구성하는 조각들의 크기가 작았다. 각 방의 벽에는 신화를 주제로 한 그림, 아름다운 풍경이 펼쳐진 것 같거나 실제 기둥이 서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는 그림 등이 그려져 있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황금팔찌의 집(House of the Golden Bracelet)’에서 발견된 다양한 벽화들이 전시되었는데, 특히 ‘정원이 그려진 벽화(Fresco with garden scene)’는 총 길이가 약 10m 정도의 대형 작품이다. 그 벽화에는 푸른 정원 안에서 노니는 새들과 분수, 사람들의 얼굴이 조각된 기둥 등이 함께 그려져 있어 실제 정원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 같은 화려함을 보여준다. 남성에게 허락된 유일한 장신구가 반지였던 반면에 여성들의 장신구는 종류가 매우 다양했다. 머리에는 머리띠나 금으로 된 그물 장식을 하거나 다양한 모양의 머리핀을 사용했다. 목걸이 중에는 목을 여러 번 감거나 몸통 전체를 두를 수 있을 만큼 긴 것도 있었고, 팔찌는 손목에 착용하는 것과 팔꿈치 위쪽에 착용하는 것이 있었다. 특히 이번에 전시된 뱀 모양의 팔찌에는 ‘노예에게 주인으로부터 [DOMINUS ANCILLAE SUA]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당시의 여자 노예들도 장신구를 착용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 외에도 화장품을 담았던 다양한 용기들도 남아 있는데, 이들을 통해 아름답게 보이고 싶어 했던 당시 여인들의 모습을 추측해 볼 수 있다.

항구도시이자 상업과 농업의 도시였던 폼페이는 바다를 끼고 있어 다른 지역과의 교역이 용이하였고, 베수비우스 지역의 비옥한 토양에서  자란  포도로  만든 와인은  폼페이의  주요  소득원이자 수출품이었다. 폼페이에서  와인을 담아   판매했던 항아리인 암포라(amphora)는 이탈리아 내의 다른 지역뿐만 아니라 프랑스, 스페인, 아프리카, 코르시카 및 독일, 영국 등지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폼페이는 타일, 등잔, 도자기 생산과 더불어 섬유 산업으로도 유명해서 이와 연계된 신발을 만드는 공방과 염색 공방, 상아나 금속 제품을 파는 가게도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제품들을 만드는 대리석공, 목수, 모자이크 장인, 금세공인, 원석 가공인 등 다양한 분야에 수많은 장인이 있었다. 그리고 이런 경제활동에 있어서 엄격한 계량과 측정이 이루어졌음은 석제로 만들어진 추에 새겨진 숫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고대 로마제국에서는 도량형을 통일하면서 각 지역에 감독관을 파견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저울과 추의 사용은 정당한 거래를 위한 필수품이었다.

폼페이 사람들의 종교 생활은 매우 열정적이면서도 복잡했다. 이들이 섬긴 신(神)에는 그리스를 기원으로 하는 신뿐만 아니라, 동양의 신과 고대의 토착신도 있었다. 폼페이 광장에는 주피터(Jupiter)와 그의 아내인 주노(Juno), 미네르바(Minerva)를 위한 신전이 세워졌다. 폼페이 사람들에게는 아폴로(Apollo)신도 매우 중요한 신이었다. 아폴로에 대한 현지인의 숭배는 기원전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신전도 그를 위한 것이었다. 비너스(Venus)에 대한 신앙심도 상당해서 폼페이의 남동쪽 끝, 바다를 마주하는 곳에 신전을 조성했다. 사람들이 이곳에 신전을 세운 것은 비너스가 폼페이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었던 해상무역과 뱃사람들을 보호해준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술의 신인 바커스(Bacchus)는 포도 경작과 와인 생산이 주산업이었던 이곳에서 각별한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집 안에도 사당을 만들어 축복을 기원하였을 정도로 신들에 대한 숭배의식이 생활 속에 깊이 자리하고 있었다. 술의 신 바커스와 관련된 비밀스런 의식은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정도로 문란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특이한 것은 다른 나라의 신도 받아들였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하르포크라테스(Harpokrates)의 경우는 이집트의 신 호루스(Horus)와 관련 있는 것으로 그 신의 어릴 때 모습이 침묵의 신으로서 받아들여졌다.

폼페이에서는 다양하고 근대적인 형태의 수술 도구들이 발견되어 당시의 수술 기술이 상당히 발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의료용 약물은 광물이나 동·식물에서 채취해 사용하였는데, 이 중에는 오늘날에도 효능을 인정받아 공식적인 처방전에 쓰이는 것도 있다. 폼페이에서 만들어진 것과 비슷한 몇몇 수술 도구는 지금도 사용되고 있으며, 놀라울 만큼 복잡하고 정교하게 만들어졌다. 폼페이 도시 성벽 외곽에는 무덤들이 많이 확인되고 있다. 당시에는 법으로 도시 내에서는 무덤을 만들 수 없었기 때문에 성문 밖에 무덤을 조성하였다. 고대 로마시대의 장례식은 인간이 사후세계로 가는 여정에서 중요한 부분이었다. 죽은 이의 혀 아래와 눈 위에 동전을 놓아둔 것은 저승의 스틱스(Styx) 강을 건네주는 죽음의 뱃사공인 카론에게 내는 뱃삯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시신은 화장했고, 타고 남은 재를 유골 항아리에 수습하였다. 폼페이 사람들은 죽음을 또 다른 세상에서의 삶의 지속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죽은 사람이 평소 사용하던 물건들을 함께 묻었는데, 아이를 위한 장난감이나 성인 남성을 위한 무기, 여인을 위한 소품들은 이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밖에도 이번 전시에는 유골항아리가 묻힌 곳임을 알려주는 묘비와 무덤에 세워져 있던 여인상도 함께 전시된다.

기원후 79년 8월 24일 폼페이는 사라져 버렸다. 그날 베수비우스 산이 막대한 양의 화산재와 용암, 유독가스를 뿜어내며 갑작스럽게 폭발하여 폼페이와 함께 주변 도시들을 완전히 삼켜버렸다. 사건 발생 17년 전인 62년에 일어난 격렬한 지진 때문에 폼페이 사람들은 자신들이 지진 발생 지역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누구도 베수비우스 산이 폭발할 것이라고 예상하지는 못했다. 왜냐하면 이전에 이 화산이 마지막으로 폭발한 것이 기원전 7세기였는데, 이때는 아직 도시 폼페이가 생겨나기 전이었기 때문이다. 8월 24일 화산의 길었던 휴지기가 끝났을 때 그 폭발 위력은 가공할 정도였는데, 이는 폭발 잔여물의 분석 결과와 폼페이의 화산폭발을 직접 목격했던 소(小) 플리니우스(Plinius the Younger)가 당시 상황을 자세하게 기록한 두 편의 편지를 통해서 잘 알 수 있다. 당시의 참혹한 죽음의 모습은 주세페 피오렐리(Giuseppe Fiorelli) 교수가 찾아낸 캐스트로 확인할 수 있는데, 사람이나 동물 등이 묻혀 있다가 만들어낸 빈 공간에 석고를 부어 그 형태를 찾아낸 것이다. 이번에 전시된 쭈그린 채로 손으로 입과 코를 막고 있는 남자의 캐스트와 밀려드는 화산재를 막기 위해 엎드린 채 옷으로 얼굴을 가린 여자의 캐스트는 죽음의 순간을 그대로 말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