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ZINE

63호


박물관에서 배우다
어린이박물관 교육프로그램<다른 문화 같은 마음>
유물 속 '동물'로 배우는 다문화

최근 본격 과학드라마를 표방한 사극 <장영실>이 화제 속에 방영중이다. 장영실은 조선전기 세종 때 활약한 과학자로서 많은 발명품과 업적을 남겼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널리 알려진 발명품 중 하나는 일명 해시계로 부르는 ‘앙부일구仰釜日晷’일 것이다. 해시계는 옛 사람들의 시간 측정 방법에 대해 이야기가 나오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물건이기도 하다. 이번 호 뮤진에서는 이 해시계를 주제로 한 어린이박물관 프로그램 <해 그림자의 암호를 풀어라>를 소개한다.

문화가 있는 날에 특별한 추억 만들기 텍스트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서는 매월 마지막 주 ‘문화가 있는 날’ 주간에 기존에 진행되었던 수업들 중 호응도가 좋았던 몇몇 프로그램들을 특별히 1회씩 진행하고 있다. 이번 <해 그림자의 암호를 풀어라>도 이러한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1~3학년 학생을 동반한 가족들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해시계 ‘앙부일구’의 원리와 사용법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배워보는 수업이다. 수업은 ‘해시계를 만들게 된 계기’, ‘해시계의 원리’ 등 이론 강의를 들은 후 직접 휴대용 해시계를 만들어보고 전시실에 가서 실재 휴대용 앙부일구 유물을 관람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수업중 엄마와 함께 해시계를 만드는 어린이 텍스트

수업중 엄마와 함께 해시계를 만드는 어린이 사진
해시계 보는 법 배우기텍스트

해시계가 제작된 계기는 ‘일식’ 때문이라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태양이 달에 가려지는 일식을 불길한 현상으로 여겨 이것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시간에 맞는 시계를 필요로 하게 되었고 마침내 세종대왕 시대에 해시계를 발명하게 되었다고 한다. 해시계는 태양의 높이와 방향에 따라 그림자의 길이나 위치가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해가 높이 뜨기 때문에 그림자의 길이가 짧고, 겨울에는 반대로 길다.

놀라운 발명품 '양부일구' 텍스트

장영실이 만든 해시계인 앙부일구(仰釜日晷)는 '솥뚜껑을 뒤집어 놓은 모습을 한 해시계'라는 뜻이다. 해시계는 해 그림자를 받는 부분인 시반, 시간을 가리키는 바늘인 영침, 세로선인 시간선 7줄과 가로선인 절기선 13줄로 구성되어 있다. 영침의 그림자의 끝이 닿아 있는 부분의 시간선과 절기선을 읽어 시간과 계절을 측정한다. 이렇듯 시계와 달력의 역할을 동시에 한 해시계는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사람이 많이 오가는 큰길가인 종묘 앞에 세워 놓았는데, 시간 옆에는 12간지를 나타내어 주는 쥐, 소, 호랑이, 말 등의 동물을 그려 놓아 글을 모르는 백성들을 위한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전시실 관람 텍스트

전시실 관람
해시계 만들어 보기 텍스트

이렇게 해시계에 대한 모든 이론을 배운 후 어린이들은 함께 온 부모님과 함께 박물관 소장품인 휴대용 양부일구를 본 딴 종이모형을 만들어 보았다. 종이모형은 뜯기 쉽게 되어 있으며 점선에 따라 접으면 실재 유물처럼 생긴 휴대용 해시계가 완성되어, 박물관에서 예쁜 기념품을 하나 선물 받은 셈이 되었다. 수업의 마지막 코스는 상설전시관에 있는 실재 휴대용 앙부일구를 비롯한 조선시대 과학기술을 엿볼 수 있는 여러 유물들을 선생님의 설명 하에 감상하는 것이었다.

휴대용 양부일구 텍스트

휴대용 양부일구 사진

앞으로도 매월 마지막 주에는 이렇듯 ‘문화가 있는 날’과 관련해서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가 진행되니 잊지 말고 스케줄러에 체크해놓으면 어떨까?

글:국립중앙박물관 뮤진 MUZINE 편집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