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ZINE

50호


어느 덧 3월을 맞이합니다. 달력을 넘기고 나타난 3월은 본격적인 한 해의 출발이라는 기분을 가지게 합니다. 학창시절, 새 학년이 시작하고 새로운 선생님과 친구들을 만났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낯선 환경 속에서 쭈뼛거리던 새 학년 첫 날의 기억은 그 시간을 함께 겪은 친구들에 대한 기억으로 번져갑니다. 마음이 맞는 친구와 점점 가까워지고 속내를 털어 놓으며 우리는 친구를 사귀어 갑니다. 그리고 이렇게 만난 학창시절의 친구는 평생을 함께 하는 나의 벗이 되기도 합니다. 오랜 시간과 경험, 감정을 공유했던 친구와 함께 지낼 수 있는 삶은 그 자체로 축복받은 삶이 될 것입니다. 본격적인 2014년의 시작을 맞아, 이번 뮤진 에서는 오랜 벗, 친구를 떠올리며 E특별전을 준비하였습니다. 선조들이 친구와 나누었던 우정을 살펴보며 여러분의 친구를 떠올려 보세요.

한반도 문명의 시작

1711년 8월, 36살의 나이로 금강산을 처음 찾았습니다. 명산으로 이름 높은 곳이라 출발 전부터 마음이 설레었습니다. 눈앞에 잊지 못할 풍경이 이어집니다. 단발령에서 일만 이천 봉우리를 굽어보고, 백천교에서 맑은 물소리에 취해봅니다. 자연의 품에서 밤을 보내고 문암정에 올라 떠오르는 해를 기다립니다. 동해 바다가 붉게 출렁이고 세상 이 점차 환해지면 가슴 가득 벅차오르는 기분이 들겠지요. 꿈에 그리던 호사를 경험하는 동안 곁에 있는 친구와의 우정은 더욱 돈독해져 갑니다. 내 친구는 한양에서 300리나 떨어진 이곳에서 벼슬을 하고 있습니다.
당시의 감동을 잊지 못하고 이듬해 금강산을 다시 찾았던 선비는 이후 평생 동안 금강산의 기억을 그림으로 그려냅니다. 금강산 그림으로 이름을 떨쳤던 조선의 화가 정선에게 새로운 세계가 열린 것이지요. 정선의 첫 번째 금강산 유람을 성사시켜 준 이는 그의 평생지기 이병연(李秉淵, 1671∼1751)이었습니다. 내금강을 거쳐 금강산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한 금화현(金化縣) 현감으로 재직하고 있던 이병연이 친구 정선과 그들의 스승 김창흡(金昌翕·1653∼1722)을 초청하여 함께 금강산을 돌아보았던 것이지요. 뜻이 맞는 친구와의 소중한 인연은 역시 일생의 선물인가 봅니다.
유물설명 더보기

깊은 산 속인 것 같습니다.얕은 폭포를 이루며 계곡을 따라 흐르는 물이 콸콸 소리를
냅니다. 널찍한 물가 바위 옆에는 오래된 노송 한그루가 자리를 잡았습니다. ‘之’자로
휘어지며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낸 소나무 아래 두 선비가 앉아 있습니다. 의관을
정제하고 꼿꼿이 앉은 것이 아니라 한 쪽 손을 뒤로 짚고 편안하게 걸터앉은 모습입니다.
그들의 몸에 걸친 옷도 느슨해 보이네요. 둘은 서로를 향해 마주보며 앉아 있지만 시선은
조금 비껴나 있습니다. 주위의 풍광을 눈에 담으며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고 있겠지요. 쾌청한 날, 물 좋고 공기 좋은 곳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는 두 사람은 오래된 친구사이인 것 같습니다. 화폭의 상단에는 흥에 겨운 듯 빠른 속도로 써 내려간 글씨가 가득합니다. 중국 당나라 시대 시인의 시구를 적어 놓은 글 말미에는 이 그림이 완성된 장소와 시간, 그리고 화가의 이름이 적혀있습니다.

乙丑元月 道人與丹邱 書畵于瑞筆齋中 贈六逸堂主人.
을축년(1805, 순조 5) 정월에 도인(道人, 이인문)이 단구(丹邱, 김홍도)와
서묵재(瑞墨齋, 화원 박유성의 집)에서 그리고 써서 육일당 六逸堂 주인에게 증정함

환갑을 즈음한 때, 1745년생 동갑내기 두 화가 이인문과 김홍도가 그리고 써서 완성한 이 작품은 한 시대를 풍미했던 거장 화가들의 교류를 보여줍니다. 동갑이 지닌 태생적 친밀함 위에 같은 분야에서 활동한 시간을 쌓아나간 두 사람은 둘만의 특별한 공감대가 있었겠지요. 그림 속의 두 선비처럼, 그리고 현실의 두 화가처럼 때로는 경쟁하고 때로는 위로하며 이해해 주는 친구를 곁에 둘 수 있다는 것은 평생의 축복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한 자, 한 자 또렷이 써나간 글이 있습니다. 자로 잰 뜻 줄을 맞춰 채워나간 글은 세로로 네 글자씩 총 19줄을 이루고 있습니다. 세 글자씩 줄을 맞춘 마지막 2줄을 합쳐 총 21줄을 이룬 글은 모두 82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붉은 종이에 검은 먹으로 써내려간 글씨 주위는 온통 도장으로 뒤덮여 있습니다. 1m가 넘는 종이의 가로열 상·하단은 가운데 줄을 맞춰 찍은 도장으로 또 하나의 장식을 만들어내고, 종이의 세로열 좌우측은 마치 글씨처럼 칸을 맞춰 찍어내려 간 도장이 이어집니다. 붉은 바탕에 검은 글씨, 사방을 가득 메운 도장이 시각을 자극하는 이 작품은 추사 김정희가 쓴 <묵소거사자찬>입니다. 제목의 ‘묵소거사(黙笑居士)’ 는 침묵을 지켜야 할 때에는 침묵을 지키고 웃어야 할 때에 웃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그의 친구 김유근(金逌根, 1785~1840)의 호입니다. 생의 말기, 실어증으로 고생했던 김유근은 말할 수 없는 고통을 ‘묵소거사’라는 호로 만들고 스스로의 상황을 위로하는 글을 지었습 니다.

그리고 심신이 힘든 오랜 친구를 생각하며 김정희가 붓을 잡고 한 자, 한 자 정성 들여 그 글을 적어 줍니다. 친구의 마음이 깃든 글씨를 받아든 묵소거사는 마음을 눌러 쓴 글을 바라보며 본인이 뱉을 수 없는 말 대신 도장을 찍어냅니다. 행여 붉은 종이가 상할까, 바탕을 감싼 비단과의 연결 부위에 연신 자신의 도장을 찍어낸 묵소거사는 10여종이 넘는 인장으로 친구의 마음에 화답합니다. 한 두마디 말로는 감히 설명할 수 없는 두 사람의 우정이 화면을 붉게 물들입니다.
유물설명 더보기

둥그스름하게 모를 죽인 원형입니다. 완벽한 원의 형태도 아닌 것이, 대칭을 이루는 형태
도 아닌 것이 어딘가 편안함을 줍니다. 반들반들 손때 묻은 나무 뚜껑에는 본래의 결이
살아있습니다. 뚜껑을 열어보니 뚜껑과 똑같은 모양의 벼루가 나타납니다. 꽤 넓고 편평한 연당(硯堂, 먹을 가는 곳)과 좁지만 깊은 연지(硯池, 먹물이 모이는 곳)를 지닌 벼루의 한 부분은 탐스러운 포도 덩굴이 장식되어 있습니다. 벼루가 지닌 부드러운 곡선의 느낌이 살아있는 장식은 생생한 이파리와 탱글탱글한 포도 알, 부드러운 줄기가 한데 어울리며 아기자기한 장식의 맛을 냅니다. 시(詩), 서(書), 화(畵)를 즐기던 선비들의 풍류가 완성되는 공간, 문방(文房)에는 곁에 두고 늘 가까이 하는 4가지 물품이 있었습니다. 문방에 있는 네 친구라는 의미로 문방사우(文房四友)라고 불리었던 이들은 붓(筆), 먹(墨), 종이(紙), 벼루(硯)를 말합니다. 세월이 지나면 사라지는 다른 친구와는 달리 벼루는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고 평생을 함께 할 수 있었기에 석우(石友)라는 명칭으로 의인화 되어 불리기도 하였습니다. 오랫동안 애지중지했던 문방 필수품 벼루는 생각을 펼쳐내는 먹물 뿐 아니라 시간의 깊이를 담아낸다는 점 에서 문인들에게 더욱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언제나 같은 곳에서 있으면서 솔직한 생각을 나눌 수 있는 존재. 예로부터 벼루가 친구로 불리었던 이유를 짐작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물설명 더보기

나와 우리의 시작

설렘을 간직한 시작 전시의 마지막 전시장 입니다.

출품하기

글-국립중앙박물관 문화교류홍보과 MUZINE 편집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