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ZINE

46호


뮤진 칼럼

전쟁의 포화를 견뎌낸 박물관이야기

올해는 한국전쟁 휴전 60년을 맞는 해이다. 1950년 6월 한반도를 뒤덮은 총성은 국립박물관의 이름으로 막 개관 5년을 준비하던 박물관에게도 잊지 못할 상처를 남겼다. 휴전 60년을 맞은 2013년 6월. 박물관의 긴박했던 순간들을 살펴보았다.

국립박물관의 개관과 초기 활동

1946년 호우총 발굴 조사 광경

경복궁 경내 조선총독부박물관 전경

1945년 8월.
일제강점기에서 해방을 맞은 대한민국 정부는 그 해 12월 조선총독부 박물관을 인수한국립박물관을 개관했다. 김재원 초대 관장을 중심으로 1946년부터 최초의 발굴조사였던 경주 호우총과 금령총 조사, 최초의 특별전이었던 ‘중요 출토품 전’ 등을 통해 박물관으로서의 역할과 의무를 실천해 나가던 국립박물관은 1950년 5월 ‘국보 특별전’을 기획하였다. 박물관 소장품은 물론 개인 소장품들까지 거의 망라된 이 전시에는 국보, 보물 등으로 지정된 국내 지정문화재를 한자리에 모아 공개됨으로써 한국 전쟁이 일어나기 직전, 한국을 대표하는 명품 유물의 행방을 파악하고 문화재 목록을 정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호우총 발굴 조사 광경

경복궁 경내 조선 총독부 박물관 전경

전쟁의 발발

한국전쟁시 진열실 피해 상황

한국전쟁시 폭격으로 부서진 경복궁 만춘전 회랑창고

한국전쟁 후 경복궁 서화고 및 서화 피해상황

1950년 6월 25일
일요일 새벽, 한반도에 울려 퍼진 총성으로 수만 점의 유물을 소장한 국립박물관도경계태세에 들어갔다. 한국전쟁의 위급함을 알게 된 국립박물관 직원들은 26일부터 진열장에서 전시 중이던 모든 유물을 꺼내 안전한 창고 속에 격납하여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 비상조치에 들어갔다. 북한군이 서울에 들어온 6월 28일 이후 사실상 고립에 들어간 박물관 직원들은 7월부터 북한의 ‘물질문화 조사 보존위원회’의 관리를 받았고, 그들의 명령으로 8월에는 규모가 작고 이동이 가능한 유물 수천 점을 포장하여 박물관이 위치했던 경복궁에서 덕수궁미술관의 더 완벽한 지하창고로 이동시켰다. 자칫 북한으로 이송될 뻔 했던 유물 수 천점은 서울 탈환을 위한 9월의 시가전으로 덕수궁 석조전에 포탄이 명중하여 불길이 치솟는 위험 속에서도 큰 문제없이 안전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한국전쟁시 진열실 피해 상황

한국전쟁시 폭격으로 부서진 경복궁 만춘전 회랑창고

한국전쟁 후 경복궁 서화고 및 서화 피해 상황

피난길에 오른 문화재

피난 시기 부산 광복동 사무실에서 직원회의

박물관장
이하 직원들은 10월 중순부터 중공군이 개입하던 상황을 예의 주시하다가 예측이 힘든 불안한 정세에 문화재를 한반도 남쪽의 안전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대통령 및 문교부 장관의 승인을 얻은 유물 운반 계획은 소수의 간부직원들만 진행시킨 긴급 비밀 작전이었다. 미국대사관의 협력을 얻어 덕수궁미술관 지하창고에서 트럭에 실어 서울역으로 운반된 국립박물관 소장품들은 11월 4일, 특별 군용열차에 실려 약 1주일 만에 부산으로 이동되었다.

서울을 떠나 피난길에 오른 문화재들은 이듬해 1.4 후퇴까지 총 3차례에 걸쳐 진행된 유물 운반 작업으로 사전에 급히 개조한 부산의 안전창고에 차례로 격납되었고, 국립박물관은 1950년 12월부터 부산 광복동 임시 사무실에서 기능을 이어갔다.

피난 시기 부산 광복동 사무실에서 직원회의

다시 관람객들 앞에 선 유물들

1957년 ‘미국에서 전시할 국보 전’을 관람하는 이승만 대통령 내외

1951년 3월,
유엔연합군의 2차 서울 수복 후에도 두 차례에 걸쳐 더 진행된 유물의 부산 이동으로 국립박물관과 덕수궁미술관의 소장품은 거의 완벽하게 보호되었다. 초기에 임시로 빌려 사용했던 부산의 안전창고에서 콘크리트 건물로 한 번 더 옮겨 보관된 유물상자들은 1953년 휴전과 함께 몇 차례에 걸쳐 서울로 돌아왔다. 전쟁과 같은 위급한 재난에 대처한 현명한 선택과 판단의 사례로 세계 박물관의 역사에 이름을 올린 우리 유물의 피난사는 이렇게 마무리되었다. 우리는 오늘도 전쟁의 포화 속에서도 위험을 무릅쓰고 문화재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 여러 사람들 덕분에 박물관에서 수 백, 수 천 년의 시간을 품은 우리의 문화재를 만날 수 있게 되었다. 호국 보훈의 달을 맞아 우리 곁에 남아 과거의 역사를 들려주는 유물의 소중함과 그 가치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글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교류홍보과 MUZINE 편집실